우당탕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합격 후기
드디어 합격했습니다! 조마조마했는데 다행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어요. 😊😎😎
들어가며..
저는 소프트웨어공학 전공으로, 빅데이터 분석과는 조금 다른 분야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반전공 정도로 봐주세요! 데이터 관련해서는 통계 강의를 몇 개 들어본 정도였고, 자격증으로는 정보처리산업기사, SQLD 등을 보유하고 있어서 자격증 공부 자체는 처음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관련 자격증은 빅분기가 사실상 처음이라 이론적인 부분에서 많이 애먹었어요. 특히 통계 부분은 기사 수준의 깊이 있는 내용을 다뤄본 적이 없어서 초반에 정말 힘들었습니다.
앗 추가로! 빅분기 필기 -> ADsP -> 빅분기 실기 순으로 취득했어요. 빅분기 필기 준비하신 분들은 ADsP는 조금만 기억 다듬고 가셔도 따시니까 꼭 잊지마시길!! ( 사실 저는 빅분기 필기랑 ADsP 사이에 잉여 기간이 좀 길어서 ADsP도 1회독 하고 갔습니다.. )
🎯 시험 응시 이유
개발 전공인데, 왜 빅분기를 준비했을까요?
가장 큰 이유는 취업입니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고, 하나의 분야만 잘해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지금 당장 목표로로 잡고 있는 기업들이 빅분기 가산점을 주기도 하고, 포트폴리오로 준비해놓은 프로젝트들도 완벽히 데이터 분석 쪽은 아니지만, 관련된 내용을 많이 다루었거든요!
하지만 확실한 것은 개발 전공인 제가 단기간에 공부해서 데이터 사이언스 전공자들과 경쟁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자기계발의 의미로 도전해보고 싶었습니다. ( 사실은 가산점.. ㅎ )
😒 공부는 얼마나 했는가
옙. 책 자체를 4월 29일. 거의 5월 다되어서 샀습니다. 사실 4월 초 필기 끝나자마자 사고 싶었는데..2026버전이 좀 후에 나와서 ㅠㅠ.. 같은 돈 주고 2025사기는 아까워서 좀 기다려서 샀습니다 ㅎㅎ
그렇지만, 5월에 무엇이 있었습니까? ADsP와 정보처리기사 필기가 있었습니다. 사실상 5월 19일인가 부터 시작했습니다.
5월에 약 10일 + 6월에 약 10일 해서 3주 정도 공부하였습니다.
6월은 왜 10일이냐구욧? 기말고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ㅜㅜ
하루 평균 3시간 정도 한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챕터 기준으로 진행했습니다. 시나공 교재가 워낙 챕터가 잘 나뉘어져 있어서 나눠서 하기 좋아용. 마지막 이틀은 종강을 해서, 하루에 12시간 공부했습니다.
정리하자면,
- 교재 구입: 4월 29일 (거의 5월!)
- 실제 공부 시작: 5월 19일 (ADsP, 정보처리기사 필기 때문에 늦어짐)
- 5월 약 10일 + 6월 약 10일 = 총 3주 정도
- 평상시: 하루 3시간 (챕터 단위로 진행)
- 마지막 이틀: 하루 12시간 (종강 후 집중)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 실기는 어떻게 준비했나 ? ( feat. 시나공 교재 활용법 )
빅분기 실기가 정말 애매한 것 같습니다. 기출이 많지도 않고, 필기처럼 우다다ㅏ 외우면 되는 것도 아니구요.
그래서 어떻게 하였는가. 그것은 바로 자아를 삭제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네? 그게 뭐죠? 시나공 교재에 몸을 맡기는 것 입니다. 시키는 것만 열심히 했어요. 기억해두면 좋다라고 강조되어 있는 부분은 암기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수학 문제 푸는 것 같았어요. 유형 하나만 잘 익혀두면, 같은 유형의 문제는 얼마든지 풀 수 있으니까요!
전체적인 학습량을 말씀드리자면, 극도로 적습니다. 1회독 했어요.. 근데 정말 한페이지 한페이지가 너덜너덜 해질만큼 꼼꼼히 진행했습니다.
시나공 교재 특징이 무엇입니까? 교재에 써져있는 모든 코드를 제공해줍니다. 실기. 그것도 코딩위주의 빅분기에서는 진짜 엄청 유용했어요. ( 참고로 빅분기 뿐만 아니라, 정처기, 컴활 같은 다른 자격증들도 모두 제공해주니 꼭꼭 시나공 쓰세요!! )
시나공 자료실에서 코드를 다운받아, 교재를 진행하며 코드를 한 번씩은 다 돌려보고, 이해가 잘 안되면 암기해서 직접 쳐보면서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제일 좋은점!! 설명이 진짜 엄청나게 자세합니다. 단순히
- A를 구하기위해서는 B를 써야한다.
이정도로 끝나지 않고,
- A를 구하기 위해서는 C를 알아야 하므로, C를 구하기 위해 D과정을 거치기 위해서 B를 사용해야한다.
이 정도로 엄청나게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막히는 부분없이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근데 사실! 엄청난 설명보다 더 좋은 점! 시나공 교재 보시면, 뭐 Tip! 부분이나 전문가의 조언, 이라는 파트가 있걸랑요? 그게 진짜 야무집니다. 빅분기 공부할 때 에도 Tip 부분에 있던게 뇌리에 팍 꽂혀서 실기 시험 당일까지 야무지게 써먹엇어요. 바로 평가지표 방법으로 문제가 분류문제인지 회귀문제인지 판별하라는 개꿀팁이었습니다.
헷갈렸던 내용, 잊으면 안되는 내용, 시험장 들어가기 직전에 봐야되는 내용들은 이렇게 적어놓고, 교재에도 필기해놓고 봤습니다.
( 퇴근후딴짓님 죄송합니다 시간이 없어서 3분 보고 못봤어요 XD )
근데 사실, 책에 적는 것도 좋지만.. 저는 필기는 대부분 노션에 하고, 실습은 주피터로 로컬 환경에서 해서.. 책이 비교적 깨끗한 편입니다. 문제 풀이도 딱히 없구용 ㅎㅎ;;
이렇게, 기출문제 풀이를 안보고 직접 풀어본 다음..! 시나공에서 제공해주는 예시 답안과 비교하면서, 제가 뭘 다른게 했는지, 어디를 고치면 좋을지 생각하면서 공부했습니다.
마지막 저장일 13일전.. 시험당일 오전 8시까지 공부하다 나갔습니다..ㅋㅋ
🤔 시험은 어땠는가?
여타 다른 자격증 시험들과는 뭔가 느낌이 달랐습니다. CBT 필기 시험도 컴퓨터로 치루지만, 그런 분위기보다는 좀 더 편한 분위기 였던 것 같아요. 아무래도 시험 시간이 3시간이라 비교적 널널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웹 브라우저로 온라인 접속을 통해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더 그런 것 같기도 해요.
난이도 같은 경우에는 제 입장에서는 쉽다고 느꼈습니다. 이전 기출들에 정말 충실하게 근거하여 나온 문제들 같았어요. 시나공 교재에 기출이 140페이지에 달할만큼 엄청 자세히 설명되어있습니다. 이거 다 보고 갔더니 기출의 신(?)이 되어있었지요. 체감 난이도 상으로는 (복원 기출 기준) 9회 - 10회 - 8회 순으로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꿀팁이라면,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과락"이 없습니다.
즉, 60점만 넘기면 된다는 말이죠! 거기에 좋은 소식으로는 아직까지는 2유형에 대한 점수 판정이 후하다는 것 입니다.
베이스라인만 잘 잡아서 수행해도 2유형 40점(만점) + 1유형에서 하나만 맞아도 10점, 3유형 소문제 2개만 맞아도 10점.
이렇게만 해도 60점이에요. 기타 자격증보다 합격 요건 충족이 쉽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팁이라면 팁인, help와 dir을 적극 활용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이번에 RandomForestRegressor를 사용하는데, 하이퍼파라미터가 기억이 안나서 help 명령어로 n_estimators 및 max_depth 찾아서 개선 후, 추가 제출 했습니다.
문자열 분할도 기억안나서 ㅋㅋㅋ dir( df['컬럼'] ) 해서 str도 찾아냈어욧 ㅋㅋ Pandas Series타입이라 바로 split을 못쓰는 이유였습니다.!!
그럼에도 시간 관리 계획은 잘 짜셔야해요. 한, 두 문제 쯤이야 정석적인 방법으로 접근 못할 때, 노가다로 풀 수 있는 경우가 있다지만, 모든 문제를 이렇게 접근하려면 시간이 분명 부족하실테니 버릴건 버리셔야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1유형 3번 문제에서 word count를 세야하는데, split하고 count때리니까 자꾸 3000이 나와서 ㅠㅠㅠ 노가다 야매로 풀었습니다. 이거에 시간 다 뺏길까봐 다른거 다 풀고 돌아와서 천천히 풀었어요!
시간이 많을 때, 자신있는 문제들을 푸시고, 모르는 문제는 버리면 그만이야~ 라는 마인드로 나중에 천천히 푸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3시간이 넉넉하다고 방심하지 말고 체계적으로 접근
- 1유형부터 차근차근, 막히면 일단 넘어가고 나중에 돌아오기
- 2유형은 베이스라인부터 확실히 잡고 개선 작업 진행
합격 소감 및 추천 이유
데이터 관련 거의 노베이스 + 공부 기간 매우 촉박이라는 좋지 못한 상황에서도 시나공 교재 1회독만으로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추천 이유를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겠씁니다.
- 완벽한 코드 제공: 모든 예제 코드를 다운로드해서 실습 가능
- 상세한 설명: 단순 암기가 아닌 이해 중심의 설명 ( 저 같은 노베이스도 쉽게이해할 수 있을 만큼, 어찌보면 과할만큼 자세히 설명 되어있어서 좋습니다. )
- 체계적인 구성: 챕터별로 잘 나뉘어져 있어 학습 계획 세우기 용이
- 풍부한 기출 분석: 140페이지에 달하는 기출 문제 및 해설
💪 예비 수험생들에게
빅분기 실기는 생각보다 합격 요건이 까다롭지 않아요. 과락도 없고!! 60점만 넘기면 되고, 각 유형별로 조금씩만 점수를 얻어도 충분히 합격 가능합니다. ( 물론 2유형 베이스라인으로 만점이 나온다는 가정하에 말이죠..! )
시나공 교재 하나만 제대로 파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어요! 저처럼 단기간에 준비하시는 분들도 포기하지 마시고 끝까지 화이팅하세요! ( ㅎㅎ 사실 저는 시험 당일에 안갈려고 했다가 돈아까워서 갔다가 붙었습니다 헤헤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913 리눅스 마스터 2급 25년 3회차 복원 ( 73 / 80 ) (0) | 2025.09.14 |
---|---|
시나공 <2025 시나공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합격 후기 (3) | 2025.07.21 |
시나공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기본서)> 합격 후기 (1) | 2025.07.05 |